기록하고 까먹지 말기

10816 본문

전공/백준

10816

yha97 2022. 9. 12. 10:40

날짜 : 2022. 9. 12

사용 언어 : python

 

문제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num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m = int(sys.stdin.readline())
card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cnt = dict()

for i in nums:
    if i in cnt:
        cnt[i] += 1
    else:
        cnt[i] = 1

for i in cards:
    if i in cnt:
        print(cnt[i], end=" ")
    else:
        print("0", end=" ")

 

 

알게된 점

- in 연산은 list, dict, set마다 시간복잡도가 상이하다.

- dict는 hash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in 연산을 사용해도 리스트보다 시간복잡도가 좋게 나타난다.(O(1))

- 타입에 따라 시간복잡도를 고려해서 코드를 쉽게 짜는 것이 관건인듯

 

참고 사이트

- https://wiki.python.org/moin/TimeComplexity

 

'전공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69  (0) 2022.09.13
1764  (0) 2022.09.12
14425  (0) 2022.09.10
10815  (0) 2022.09.09
1181  (0) 2022.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