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고 까먹지 말기

제 5장 IT 기반구조 및 최신 기술 본문

경영학/MIS

제 5장 IT 기반구조 및 최신 기술

yha97 2021. 7. 22. 15:43

1장에서는 IT 기반구조(IT Infrastructure)를 기업의 특정 정보시스템에 대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공유된 기술 자원들로 정의했다. 이 장에서는 IT기반구조는 무엇이고, 발전 단계와 주도 요인, 나아가 다양한 기술들과 최근 동향을 주로 다루고 있다.

 

IT기반구조는 기업 전체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장비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되지만 경영진에 의해 예싼이 수립된 전사적 서비스들의 집합으로서 인간, 기술 모두의 역량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전사적 서비스들은 다음과 같다.

- 컴퓨팅 플랫폼

- 정보통신 서비스

- 데이터 관리 서비스

- 응용 소프트웨어 서비스

- 물리적 설비 관리 서비스

- IT 관리 서비스

- IT 표준 서비스

- IT 교육 서비스

- IT R&D 서비스

 

IT 기반구조의 발전은 시대와 성능으로 볼 때 5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시대를 특정짓는 기술드은 다른 시대에 다른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 범용 메인프레임 및 미니컴퓨터 세대(1959년~현재) : 트랜지스터화된 장비의 도입으로 메인프레임 컴퓨터의 상업적 활용이 시작되었고 65년에는 DEC에 의해 생산된 미니컴퓨터의 도입으로 분산 컴퓨팅이 시작되었다.

 

- 개인용 컴퓨터 세대(1981년~현재) :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가 발명되었으며 IBM PC가 미국 전역으로 확산, DOS OS가 개발되었으며 이후에는 MS의 윈도우를 탑재한 윈텔PC가 만들어짐으로써 개인용 생산 SW 도구들의 범람을 가져왔다.

 

- 클라이언트/서버 시대(1983년~현재) : 클라이언트라 불리는 데스크톰 또는 노트북 pc는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커뮤터들에게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을 제공해 주는 서버와 연결된다. 다중계층(N-계층)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쳐를 기업에서는 사용한다. 웹 서버를 예로 든다면 클라이언트-인터넷-웹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데이터 관계로 확인할 수 있다.

 

- 전사적 컴퓨팅 시대(1992년~현재) : 1990년대 기업들은 상이한 네트워크들과 애플리케이션들을 전사적 기반구조에 통합시킬 수 있는 네트워킹 표준과 SW 도구들로 방향을 선회했고 인터넷의 발전으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네트워킹 표준을 사용,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함께 묶기 시작했다.

 

- 클라우드 및 모바일 컴퓨팅 시대(2000년~현재) : 클라우드 컴퓨팅은 주로 인터넷을 통해 커뮤팅 자원들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해 주는 컴퓨팅 모델이다. 클라우드는 어떤 기기, 위치에서도 필요에 따라 접근 가능하며 현재 많은 기업들이 이에 투자를 하는 상황이다.

 

위에서 언급한 IT 기반구조의 변화는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된 반면, 컴퓨팅 성능은 급격하게 상승되었다.

 

이러한 주장에 대표적인 사례가 '무어의 법칙(Moore's Law)'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예시로 든다면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가 되며 이는 컴퓨터 성능 또한 18개월마다 2배가 된다. 반면 컴퓨팅 가격은 18개월마다 절반으로 떨어진다.

(물론 그래픽카드 가격은.....시발)

 

이렇게 발전하는 기술의 대표적인 예시가 나노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인텔은 나노기술을 통해 아주 작은 면적에 수많은 회로들을 집어넣을 수 있었고 칩 제조업체들은 나노튜브 프로세서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 프로세스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대용량 저장장치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10년 전에는 1테라는 좀 과하다는 느낌이 드는 용량이었지만 지금은 기본 사양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을 개인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그렇다면 IT 기반구조의 구성요소들은 무엇이 있을까? 오늘날 IT 기반구조는 7가지의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 컴퓨터 하드웨어

- 운영체제

- 전사적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 데이터 관리 및 저장장치

- 네트워킹 / 정보통신 플랫폼

- 인터넷 플랫폼

-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서비스

 

한편 컴퓨터 하드웨어 플랫폼의 최근 동향을 알아보자.

 

먼저 현재에는 모바일 디지털 플랫폼, 즉 태블릿이나 스마트폰같은 모바일 디지터 플랫폼이 급격한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의 증가로 기업 또한 직원들에게 모바일 기기를 장려하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양자컴퓨팅을 통해 많은 양의 연산을 처리하고 가상화를 통해 물리적 제약을 넘어서 업무를 처리하는 등의 발달을 이루었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을 통해 기업은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상이한 서비스 유형들로 구성된다.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고객들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컴퓨팅 자원들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정보시스템을 가동시킨다. 예컨대 아마존이 IT를 통해 고객에게 AWS라는 클라우드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일반적 제공)

- PaaS(Platform as a Service) : 고객들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호스팅되는 기반구조와 프로그래밍 도구들을 활용하여 나름대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개발한다. IBM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SW 개발과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이 서비스의 사례이다.(기존 기술의 응용을 통한 개발)

- SaaS(Service as a Service) : 고객들을 벤더에 의해 호스팅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주된 예로는 구글어스를 통한 서비스 제공을 예시로 들 수 있는데, SW를 통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현재 클라우드는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공공 클라우드, 사설 클라우드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최근 동향을 살펴본다.

 

최근 소프트웨어 플랫폼 발전과 관련된 4가지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리눅스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수십만명이 참여해 코드를 공유하며 개바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아파치, 파이어폭스 등)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결과 리눅스라는 OS가 개발되었다.

- 웹 소프트웨어 : 자바는 OS, 프로세서와 독립적인 OOP로서 웹을 위한 주도적인 쌍방향 프로그래밍 환경이 되어가고 있다. 자바 개발자들은 웹페이지에 삽입 가능하고 다운로드되어 웹페이지에서 가동되는 작은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이를 채택, 전자상거래 및 e-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된다.

- 웹서비스와 서비스지향 아키텍쳐 : 웹서비스는 범용적인 웹 커뮤니케이션 표준들과 언어들을 사용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SW 구성요소들이 느슨하게 결합된 집합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기술은 XML이며 html보다 더욱 강력하고 유연한 특징을 갖는다. 기업은 SW 시스템 구축을 위해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를 구성한다.

- 소프트웨어 아웃소싱 : 이러한 SW의 개발로 다양한 SW를 결합하여 패키지로 만들었으며 인도와 같이 경험많은 기업들에게 외주, 즉 아웃소싱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