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트리
- 수학
- 해시
- 그래프 이론
- 그래프 탐색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다시
- DFS
- 다익스트라
- BFS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크루스칼
- DP
- 시뮬레이션
- GROUP BY
- 브루트포스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투포인터
- 분할정복
- 자료구조
- 누적합
- 백트래킹
- 우선순위큐
- 그리디
- 재귀
- join
- 서브쿼리
- 플로이드-워셜
- MST
- 구현
- Today
- Total
기록하고 까먹지 말기
제 8장 통신, 인터넷 그리고 무선 기술 본문
기업과 관련된 일을 한다면 네크워크의 필요성을 많이 느낄 것이다. 고객, 공급자, 직원들과 신속한 의사소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음성, 편지 등으로 소통했지만 현대에는 컴퓨터, 이메일, 문자 등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바일 컴퓨터들이 대중적인 통신 수단이다.
네트워크는 둘 이상의 연결된 컴퓨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NOS(Network Operating System)은 네트우크상의 통신에 대한 경로를 설정, 관리하며 자원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서버 컴퓨터, 허브, 라우터,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등이 있다.
이런 네트워크는 소기업에게는 적합할지도 모르지만 수천, 수만명의 직원들과 수많은 지사를 갖고 있는 대기업에게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그렇기에 기업이 성장하면서 LAN을 갖게 되고 이를 묶어 기업 네트워킹 기반구조를 구축한다.
이러한 구조는 나아가 인터넷, 무선 인터넷, 휴대전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의 디지털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세 가지 핵심 기술에 기초를 두고 있다.
- 클라이언트 / 서버 컴퓨팅 : 분산된 컴퓨팅 모델로서 정보처리 역량의 일부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작고 저렴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부여한다.
- 패킷 교환 : 디지털 메시지를 패킷이라고 불리는 작은 묶음으로 쪼개고, 준비된 패킷을 서로 다른 통신 경로를 따라 전송하며, 목적지에 도착한 패킷을 다시 재조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용향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졌다.
- TCP/IT와 접속 가능성 : 범세계적 단일 공통 표준의 채택을 통해 배타적이었던 프로토콜을 한데 묶어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애플리케이션, 전송,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등 전범위적 계층에 영향을 주었다.
네트워크의 다른 유형을 살펴보자.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가 존재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통신 매체를 통과하는 연속적 파장을 이용하여 표현하며 주로 음성 통신을 위해 사용하였다.
디지털 신호는 연속적 파장이 아닌 이진(binary) 파장을 말한다.
이 둘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모뎀을 사용하며 컴퓨터는 모뎀 ㅇ벗이는 전화 시스템과 케이블 네트워크를 포함, 아날로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없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 LAN(근거리 통신망) : 500~800m 반경 이내 pc나 기타 디지털 장비들을 연결시키도록 고안된 네트워크이다.
- WAN(광역 통신망) : 지역 전체, 주, 대륙과 같은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이다. 인터넷이 이에 해당한다.
네트워크는 다양한 종류의 물리적 전송 매체를 사용하며 각 매체마다 장단점이 혼재한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영구적 인터넷 회선을 가지고 가입자들에게 한시적 회선 접속 서비스를 판매하는 영리조직
DSL(Digital Subscriber Line) : 기존 전화선을 통해 사용 패턴과 거리에 따라 음성, 데이터, 영상 등 전송할 수 있는 기술
인터넷은 TCP/IP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IP주소를 할당받는다.
DNS(Domain Name System)은 IP 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시킨다. DNS 서버는 IP 주소와 이에 대응하는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DB를 유지,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NS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루트 > 1차 > 2차 > 3차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현재 주소체계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이며 128bit를 이용, 약 1000조 개의 주소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2는 미국의 기업, 대학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 선도 네트워킹 컨소시엄이다.
인터넷은 클라이언트 / 서버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텔넷, FTP, 웹, e-mail 등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SW 프로그램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서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여러 다른 서버에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인터넷의 클라이언트 / 서버 컴퓨팅은 클라이언트 - 인터넷 - 서버 - 응용서버 - DB 서버 - DB 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되어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인터넷은 음성 통신과 기업 네트워킹의 가장 보편적인 플랫폼이 되었고 VoIP(Voice over IP) 기술은 디지털 형식으로 음성 정보를 전달한다. 이 기술 또한 아날로그 신호(음성)를 패킷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패킷을 통해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통합 통신망, 가상사설통신망(VPN) 등이 있다.
웹은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서비스이며 저장, 검색, 포맷팅,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련하여 범세계적으로 인정된 표준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의 시스템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 하이퍼텍스트 : HTML 표준을 토대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 인터넷 호스트 서버에 저장된 웹페이지를 요청하여 웹페이지에 접근한다. URL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브라우저 SW에게 정보를 찾는 위치를 제공하며 이에 맞는 도메인 네임과 그 위치의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 웹 서버
- 정보 검색(검색 엔진, 모바일 검색, 검색엔진 마케팅, 소셜 검색, 시맨틱 검색, 지능형 에이전트 쇼핑 봇)
- 웹 2.0 : 유튜브에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블로그를 만들고 위키를 사용하는 등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간 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혁명은 다방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휴대폰의 3G 기술에서 시작하여 블루투스를 통한 개인 네트워크 구축, 와이파이를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 RFID의 재화 움직임 추적 기술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현재 사물에까지 인터넷과 접목시켜 IoT(Internet of Things)라고 부르는 것의 결과물까지 다다르게 되었다.
'경영학 > M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9장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0) | 2021.07.26 |
---|---|
제 8장 정보시스템 보안 (0) | 2021.07.26 |
제 6장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관리 (0) | 2021.07.25 |
제 5장 IT 기반구조 및 최신 기술 (0) | 2021.07.22 |
제 4장 정보시스템에서 윤리적, 사회적 이슈 (0) | 2021.07.20 |